지역 캐릭터 활성 방안 육성한다 : ㈜골든베어상사 황규식 차장
-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캐릭터를 개발하려면 친근함과 상징성을 담아야 하며, 지역 고유의 문화나 특징을 반영해야 합니다. 캐릭터의 목적은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어필하며 지역 경제 활동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입니다.
- 이상곤 기자
- cntoynews@naver.com | 2025-02-11 17:15:15
▲ © 캐릭터 완구신문 |
1. 컨셉 및 방향성
· 지역의 특징 반영: 지역의 유명한 상징물, 특산품, 자연경관, 역사적 인물 등을 캐릭터 디자인에 반영.
· 타겟층: 어린이, 청소년, 성인 모두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
· 캐릭터의 역할: 이벤트, 홍보물, 기념품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 가능.
2. 디자인 아이디어
· 특산품 의인화: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의인화하여 캐릭터로 제작 (예: 사과, 고추, 쌀 등).
· 동물 기반 캐릭터: 지역의 상징 동물을 귀엽고 친근하게 재해석.
· 전통 요소 활용: 지역 고유의 전통 의상이나 문화적 색채를 가미.
3. 콘텐츠 제작 및 홍보
· SNS 채널 운영
- 캐릭터 전용 SNS 계정을 만들어 캐릭터의 일상 콘텐츠(지역 명소 방문, 특산품 소개 등)를 꾸준히 게시.
- 사용자 참여 이벤트(캐릭터 그림 그리기, 이름 공모전 등) 진행.
· 웹툰 및 애니메이션 제작
-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웹툰, 짧은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서 홍보.
- 지역 이야기를 재미있게 전달.
· 지역 홍보 콘텐츠
- 지역 축제나 관광지 소개 영상에 캐릭터를 등장시켜 스토리를 부여.
4. 상품화 및 수익 모델 구축
· 기념품 개발
- 인형, 키링, 문구류, 의류, 컵 등 다양한 굿즈 제작.
- 지역 상점, 관광 안내소, 온라인 몰에서 판매.
· 캐릭터 라이선스 제공
- 지역 내 기업이나 상점과 협업해 캐릭터를 활용한 제품 또는 브랜드 공동 마케팅.
· 한정판 제품 출시
- 지역 축제나 행사 때만 판매하는 한정판 굿즈로 희소성과 관심 유도.
5. 현장 경험 확대
· 이벤트 및 행사 참여
- 지역 축제, 마을 장터 등에서 캐릭터를 등장시키고 사진 촬영, 퍼레이드 등 재미있는 이벤트 진행.
- 캐릭터 인형탈을 활용한 현장 체험(아이들과 사진 찍기, 게임 진행 등).
· 포토존 설치
- 지역의 주요 명소에 캐릭터 조형물 및 포토존 설치로 관광객 유입 유도.
· 캐릭터 테마 공간 조성
- 캐릭터 테마 카페, 전시관 등을 만들어 관광 콘텐츠로 활용.
![]() |
▲ © 캐릭터 완구신문 |
6. 협업 및 네트워킹
· 지역 브랜드와 협력
- 지역 농산물, 수공예품 브랜드와 캐릭터 협업 상품 출시.
- 예: 캐릭터 포장지를 활용한 특산품 판매.
· 다른 지역과 교류
- 타 지역 캐릭터와 콜라보 콘텐츠 제작.
- 전국 캐릭터 페스티벌 등에서 지역 캐릭터 홍보.
· 기업 및 프랜차이즈와 파트너십
- 외부 기업과 협력해 캐릭터를 활용한 마케팅 캠페인 진행.
7. 디지털 기술 활용
· AR/VR 콘텐츠 개발
- 캐릭터를 활용한 증강현실(AR) 관광 가이드 앱 제작.
- 관광 명소에서 AR로 캐릭터와 사진을 찍거나, 관련 스토리를 들려주는 기능.
· 이모티콘 및 게임
- 캐릭터 이모티콘을 제작해 카카오톡, 라인 등에서 배포.
- 모바일 게임이나 미니 게임 앱에서 캐릭터 등장.
8. 성과 측정 및 지속적 개선
· 피드백 수집
- 지역 주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캐릭터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 진행.
- SNS에서의 반응 분석.
· 브랜드 이미지 개선
- 캐릭터를 통해 지역의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홍보 전략을 개선.
이러한 방안을 통해 지역 캐릭터가 단순한 홍보 아이콘을 넘어,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사랑하는 브랜드 자산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9. 예시 아이디어
1. "도토리 토리"
- 숲이 많은 지역이라면 도토리를 모티브로 귀여운 다람쥐 캐릭터 제작.
- 역할: 지역 전통시장이나 농산물 직거래 홍보.
2. "미소 마루"
- 전통 한옥이 많은 지역이라면 한옥 지붕 모양을 머리로 표현한 인간형 캐릭터.
- 역할: 지역 축제와 관광 캠페인 홍보.
3."바다랑"
- 해안가 지역이라면 파도를 형상화한 돌고래 또는 갈매기 캐릭터.
- 역할: 수산물 축제 및 해양 관광 홍보.
10. 활용 방안
· SNS 홍보: 캐릭터를 활용한 이모티콘, GIF 등 제작.
· 상품화: 캐릭터를 활용한 기념품(인형, 가방, 파우치 등) 제작.
· 이벤트 연계: 지역 축제나 시장에서 캐릭터가 등장해 이벤트 진행.
![]() |
▲ © 캐릭터 완구신문 |
2025년 신년을 맞이하여 캐릭터를 새로 론칭하거나 개발하는 지역이 늘고 있습니다. 사실상 거의 모든 공공기관에서 지역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지역 캐릭터 홍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주민이 공감하는 친근감, 흥미 등을 유발해 성별 연령을 불문하고 주민들에게 가장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홍보 제작하고 있습니다.
지차체 및 공공기관 캐릭터들은 지역의 정책을 비롯하여 축제 등을 재미있게 소개하는 것은 물론 단순 홍보 수단을 벗어나 친근감을 무기로 지역민과 행정기관의 거리감을 좁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유도하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골든베어상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차제 캐릭터를 이용해 보편화된 서비스를 구축하여 기타 공공기관 및 지역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세상 밖으로 꺼내어 주민들과 함께 소통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 캐릭터 이용해 다양한 이벤트를 접목하고 활용해 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건국대 · 경상국립대 · 경북대 · 한국공학대 등 캐릭터를 제조 생산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지차제 캐릭터 및 공공기관 캐릭터 또한 지속적으로 개발 생산 제조하고 시장 활성화 사업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로 인한 지역 캐릭터 알리기에 힘써 복합적으로 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가 사랑하는 브랜드 자산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캐릭터 완구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