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장난감, 이제는 글로벌 시장이다"

김덕조 경제칼럼니스트가 보는 장난감 시장 동향
온라인 편집부 기자
| 2017-02-02 16:17:51

 

장난감은 언제부터 우리와 함께 했을까?


고대 이집트 출토품에서도 장난감은 발견된다. 아마도 우리 인류의 시작과 함께 같이 했다고 봐도 될 것 같다. 

 

나이 마흔을 훌쩍 뛰어넘은 필자는 생각해 본다. “난 과거에 어떤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을까?” ‘로보트 태권V’, ’마징가Z’ 등이 아니었나 싶다. 영화스타워즈에 나왔던 로봇 ‘알투디투’도 내 오래된 사진첩에 등장한다.

 

그런데 이들 장난감에 공통된 특징이 있다. 바로 우리가 보는 만화부터 시작했다는 것이다. 만화를 요즘은 애니메이션이라고 부른다.  ‘로보트 태권V’, ‘마징가Z’ 모두 애니메이션 장난감이다.

 

 

◆장난감 산업…단순 하청(OEM)에서 브랜드를 가진 수출제품(OBM)으로

 

▲ 뽀통령이라 불리는 뽀로로


이러한 애니메이션 장난감은 우리나라에서 ‘뽀통령’이라고 불리는 ‘뽀로로’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세계완구시장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약 70%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데 단순 OEM에 머물러 있는 우리 장난감 시장이 ‘뽀로로’ 라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애니메이션들이 단순한 흥미가 아닌 교육과 정서함양 등을 콘텐츠에 녹임으로써 소비자들에게 높은 호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 이 같은 움직임은 더욱 뚜렷하다. 예전만해도 디즈니 만화영화를 통해 생산된 ‘미키마우스’ 등의 장난감들이 유아와 아동 장난감의 상당수를 이뤘지만 지금은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 장난감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그만큼 국내 제품들의 경쟁력과 시장점유율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기업과 연계된 새로운 형태의 장난감 등장


▲ '헬로카봇' 인기 완구


국내 메이저 자동차 회사와 장난감 회사의 협업. 바로 ‘헬로카봇’의 탄생 배경이다. 실제 자동차 모델을 애니메이션과 장난감으로 시장에 내놓았고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자동차 회사는 유아와 어린이의 감성에 자사 자동차들의 이미지를 심게 됐다. 잠재고객을 확보한 셈이다.

 

장난감 회사 역시 완성도 높은 애니메이션과 제품 그리고 유통망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펼칠 수 있게 됐다. 콘텐츠 역시 부모들과 함께 봐도 재미있을 만한 교육적인 내용을 중간중간 심어 넣었다.

 

◆애니메이션 장난감의 결정판…’터닝메카드’의 흥행

▲ 터닝메카드 윙라이온

 

터닝메카드는 2015년 첫 방송을 시작한 국산 창작 애니메이션이다. 내용은 지구와 다른 세계의 평화를 위해 미니카 변신로봇인 메카니멀을 쟁탈하는 주제의 애니메이션이다.


‘터닝메카드’ 상품들은 수십 개의 제품군임에도 불구하고 2015,2016년 모두 판매순위 최상위권을 기록할 만큼 ‘대박’이 났다. 어린이들은 새로운 제품이 나오면 몇 시간씩 줄을 서서라도 살 만큼 큰 흥행을 기록했다.


국내 애니메이션 장난감이 이처럼 전무후무한 흥행기록을 세운 것은 ‘터닝메카드’가 처음인 것 같다. 터닝메카드는 처음부터 방송과 제품 생산, 부가사업 등을 계획대로 준비해 전개해 나갔기 때문이다.


상품 판매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뽀로로’와 달리 ‘터닝메카드’의 빅히트는 에니매이션 장난감 시장 확대가 전세계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대한민국 장난감 산업…글로벌 시장으로 진출


한동안 대한민국은 창조경제라는 단어가 이곳 저곳에 사용됐다. 하지만 최근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창조경제는 ‘쑥’ 들어가고 말았다. 아쉬운 점이다. 창조경제 중에 우리가 받아들이고 발전시켜야 할 것은 바로 ‘CREATIVE’와 ’CONTENTS’다.


아이디어로 승부하고 소프트웨어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과 싸워서 이길 수 있는 기업과 제품들이 필요하다. 우리는 애니메이션 장난감 시장에서 그 ‘빛’을 봤다. 지금까지는 중소기업들이 이를 담당해 왔다. 물론 몇몇 대기업들도 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긴 하다. ‘아이디어 뱅크’인 중소기업과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과의 협업이 필요하다.

 

거기에 정부의 관심도 더욱 절실하다. 단순히 민간기업에게 ‘알아서 하라는 식’의 발상은 안 된다. ‘금융지원’과 ‘기술이전’ 등 실질적인 도움을 줘야 한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그리고 정부가 손을 잡는 ‘살아있는 협력’ 만이 이제 ‘성장기’를 맞고 있는 한국 애니메이션 장난감 시장의 글로벌화를 완성시킬 수 있는 ‘마중물’이 될 것이다.

 

 

글쓴이 : 김덕조 경제칼럼니스트

 


 

[ⓒ 캐릭터 완구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많이본 기사